국제수영연맹(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Natation, FINA)은 1908년 7월 19일, 런던 올림픽 개최 기간에 런던에서 설립되었으며 벨기에,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헝가리, 스웨덴이 포함된 8개국 연맹이 FINA의 설립에 참여하였다.
초기 연맹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2018년 1월, FINA는 Dr. Julio C. Maglione 의장 하에 5개 대륙 209개 회원국 연맹을 구성하였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현재 FINA는 다음과 같은 수중 종목을 개발 및 관리하고 있다.
1973년부터 FINA는 수영, 다이빙, 하이다이빙, 수구, 싱크로나이즈드 수영, 오픈워터수영 종목으로 구성된 세계선수권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세계선수권대회는 16회까지 차례로 베오그라드(유고슬라비아, 1973), 칼리(콜롬비아, 1975), 베를린(독일, 1978), 과야킬(에콰도르, 1982), 마드리드(스페인, 1986), 퍼스(호주, 1991), 로마(이탈리아, 1994), 퍼스(호주, 1998), 후쿠오카(일본, 2001), 바르셀로나(스페인, 2003), 몬트리올(캐나다, 2005), 멜버른(호주, 2007), 로마(이탈리아, 2009), 상하이(중국, 2011), 바르셀로나(스페인, 2013), 카잔(러시아, 2015)에서 개최되었다. 다음 세계선수권대회는 부다페스트(헝가리, 2017)와 광주(대한민국, 2019)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FINA 역사의 기념비적 경기로는 수영, 다이빙, 수구, 싱크로나이즈드 수영 월드컵(1979), 세계마스터즈선수권대회(1986), 세계수영선수권대회(25m, 1993년부터 2년마다 개최), 마라톤 수영 월드컵(1994), 다이빙 그랑프리(Diving Grand Prix, 1995) 및 다이빙 그랑프리 슈퍼파이널(Super Final of the Diving Grand Prix, 1998), 세계선수권대회(2000), 남자 수구 월드리그(2002) 및 여자 수구 월드리그(2004), 세계주니어수영선수권대회(2006), 싱크로나이즈드 수영 월드트로피(2006), 다이빙 월드시리즈(2007), 세계수구개발트로피(World Water Polo Development Trophy)(2007), 10km 마라톤 수영 월드컵(2007), 오픈워터수영 그랑프리(2007), 세계주니어 오픈워터수영 선수권대회(2012), 하이다이빙 월드컵(2014) 등이 있다.
FINA 및 해당 수중 스포츠 분야는 올림픽 운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올림픽 게임 흥행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되었다. 수영은 1896년부터 올림픽 종목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고, 수구는 1900년 올림픽 게임 사상 최초의 팀 스포츠가 되었으며, 다이빙은 1904년부터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80년 후, 1984년에는 싱크로나이즈드 수영이 올림픽 ‘클럽’에 합류했으며, 마라톤 수영(남자 및 여자 10km 경기)은 2008년부터 올림픽 종목에 포함되었다.
FINA의 일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